가격전략14 제품 수명주기(PLC)와 판매량 & 수익 곡선에 따른 마케팅 전략(가격 전략) 지난 시간에 제품 수명 주기의 도입기에 많이 사용되는 전략이라는 표현으로 시장 침투 가격 전략을 언급했습니다. 제품 수명 주기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아 오늘은 제품 수명 주기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제품 수명주기와 판매량 & 수익 곡성에 따른 가격 전략 전형적인 제품 수명 주기는 제품 개발 이후 S자형을 보이며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의 4단계로 나뉩니다. 각 주기의 특성을 살펴보겠습니다. 1. 도입기 신제품이 시장에 처음 등장하여 잠재고객의 관심을 끌고 구매를 자극하는 단계입니다. 도입기는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면서 매출 성장이 둔화되는 기간입니다. 제품 도입에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 때문에 현 단계에서는 이익이 전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 기간은 오래 지속될 수 .. 2023. 4. 19. 더보기 차이식역(JND)과 베버의 법칙(Weber's law, 웨버의 법칙) - 가격 전략 관점 최근 제조업을 시작하신 모 기업의 제품 가격을 세우는 전략을 위한 컨설팅을 준비하는 중에 정리도 할 겸 공유합니다. 가격 전략은 마케팅 관리론 4p 믹스에서 다루지만 더 근원적인 이론은 인지 심리학과 소비자행동론의 정보 처리 과정 중 감지(인지)에서 다루는 차이식역(JND)과 베버의 법칙(Weber's law, 웨버의 법칙)입니다. 차이식역 이론은 절대식역에서 출발하는데, 절대식역이란 변화를 알아차릴 수 있는 최소한의 강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모여있는 광장에서 휴대전화 벨소리 음량이 0에서부터 점점 커질 때 음량이 얼마까지 올라가야 소리를 알아챌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그 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음량이 절대식역에 해당합니다. 절대식역은 사람마다 주변의 소음 환경마다 .. 2023. 3. 9. 더보기 가격 결정 요인: 권장 소비자 가격, 희망 소비자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지난 글에 이어 가격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 이어갈까 합니다.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는 것일까요? 중고등학교 사회 시간에 다들 배우셨지요? 경제학에서는 정부의 시장개입이 없으면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가격이 결정된다고 말합니다. 정말 그럴까요? 가격은 그 자체만으로도 상품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암묵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고 소비자들은 가격을 품질의 판단 근거로 활용합니다. 그러다 보니 기업은 상품(제품이나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보다는 가격이 갖는 심리적 효과를 고려하여 가격 전략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가격이 비싸면 브랜드 가치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판매하는 상품이 좋은 상품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을까요? 오늘 제가 풀어가는 이야기를 통해서 한 번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2023. 1. 16. 더보기 가격 전략을 이용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3가지 - 단수 가격과 구체성 효과 등 가격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며칠 동안 써오고 있는데 가격은 마케터가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쉽고 즉각적으로 반영이 가능한 전략입니다.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정보탐색, 대안 평가, 구매에 이르기까지 가격은 잠정 고객이 가장 높게 고려하는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비슷한 물건이라면 여러분은 101,000원 보다 99,000원이 훨씬 저렴하다고 느낄 것입니다. 사실상 두 가격의 차이는 2,000원 밖에 되지 않습니다. 기준 가격이 100,000원이라고 한다면 각각 1,000원을 더 받겠다고 가격을 수정한 상품과 1,000원을 할인해 주겠다고 가격을 수정하여 제시한 사소한 차이입니다. 이런 사소한 차이에 매출 차이는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저는 동네에서 중고 거래를 위해 "당근"이라는 어플을 사용하고 .. 2023. 1. 6. 더보기 신제품의 시장 진입 실패 원인 4가지 분석과 이에 따른 마케팅 전략 기업은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개발하고 출시하지만 많은 신제품들이 실패합니다. 신제품의 주요 실패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요? 신제품 시장 진입 실패 원인 4가지와 극복 마케팅 전략: 실전 사례로 보는 효과적 전략 수립 가이드서론: 신제품 실패,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야 성공할 수 있어요신제품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자리 잡지 못하는 경우는 결코 우연이 아니에요. 많은 기업들이 신제품 출시 후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를 보이는 이유는 주로 몇 가지 주요 원인에 기인합니다. 오늘은 신제품 시장 진입 실패의 4대 원인을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각 원인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해 드릴게요.1. 불충분한 시장조사와 타깃 고객 설정 미흡문제점: 신제품 출시 전에 충분한 소비자 조사와 경쟁사 분석이 이루어.. 2023. 1. 5. 더보기 마케팅 전략(4P 믹스)에서 가격 전략 & 시장 침투 가격 -가격 결정 요인 5가지 오늘 대전에 있는 모 업체를 방문해서 블로그 마케팅 3차시를 강의했습니다. 어느 정도 이론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조합원들이 "가격은 어떻게 정하는 것이 좋을까요?"라면서 질문이 들어왔습니다. 그래서 다음 강의는 마케팅 전략 중에서 가격전략을 살펴보기로 했답니다. 겸사겸사 정리도 할 겸 머릿속에 떠오르는 가격전략에 대해 긁적여 봅니다. 우선 가격이란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좋은 제품은 비싸고 상대적으로 덜 좋은 제품은 비싸지 않습니다. 고객이 느끼는 비용(가격)과 기업이 제시하는 가격이 어느 정도 일치할 때 거래가 일어납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조금이라도 이익을 더 남기고 싶고 당연히 고객은 더 저렴하게 사고 싶어 합니다. 어쩌면 눈치게임 일 수도 있겠네요.. 2023. 1. 4. 더보기 신제품 출시와 가격 전략(초기 고가 전략, 시장 침투 가격 전략, 탄력 가격 전략) 일반적으로 가격은 제품 수명주기에 따라 변화하게 됩니다. 특히, 도입기는 가격 결정에서 도전적인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주로 사용하는 전략은 초기 고가 전략과 일명 시장 침투 가격 전략이라고 부르는 초기 저가 전략이 있습니다. 도입기 즉, 신제품을 개발한 기업이 가격을 책정할 때 세우는 전략입니다. 고가 전략이나 저가 전략이 모두 어려운 경우에는 탄력 가격 전략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다소 전략을 실행해 옮기기가 까다롭습니다. 그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신제품 출시 가격 전략1. 초기 고가 전략초기 고가 전략(market-skimming pricing)이란 신제품 도입 초기에 고가격으로 시장에 진입하여 가격에 비교적 둔감한 고소득층의 혁신층(innovators)과 조기 수용층(early adopter.. 2023. 1. 3. 더보기 이전 1 2 다음 반응형 최신글